- 등록일 : 2024-02-21
- 기사수 :
청년 하면 떠오르는 단어 청춘! 청춘의 ‘춘(春)’은 봄을 의미합니다. 긴 겨울이 지나고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상징하는 봄! 청년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하며, 청년에 대한 네 가지 바람을 위한 정책을 소개합니다.
일하기 바람
청년의 꿈을 응원합니다!
원스톱 창업지원 서비스
‘양천창업지원센터’에서는 창업 맞춤형 상담과 창업 준비부터 판로개척, 사후관리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베이커리, 웹소설 등 특화 프로그램과 공유주방을 통한 레시피 교육, 입주공간 지원 등을 통해 청년들이 새로운 가능성에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양천창업지원센터 ☎(02)2604-1471
취업 특화 공간
양천 청년 일자리 카페
목동깨비시장 공유주차장&공유센터(등촌로 208)4층에는 취업준비 청년을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이 있는 일자리카페가 있다. 전문 상담사를 통한 취업상담이 가능하며, 3월부터는 각종 취업특강 및 아카데미 프로그램이 개설될 예정이다.
양천 청년 일자리카페 ☎(02)2062-2418
지역상권 살리는
청년점포 육성
양천구는 관내에 점포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을 선정해 1년간 임차료와 리모델링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지금까지 점포 27곳에 총 3억 7천만 원을 지원해 다양한 업종의 창업을 도왔다. 특히 지난해 선정된 ‘참새과자방’은 커피와 다양한 재료를 넣은 붕어빵을 판매하는 맛집으로 목동로데오 상권의 활력소 역할을 하고 있다. 기발한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이라면 창업의 꿈을 마음껏 펼쳐보자.
일자리경제과 ☎(02)2620-4818
잘살기 바람
저축액 두 배로 돌려주는
희망두배 청년통장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근로 중인 청년들이 목돈 마련을 통해 자립할 수 있게 돕는 통장이다. 2년 또는 3년간 매월 10만 원이나 15만 원을 저축하면 저축액과 동일한 금액을 적립하여 준다. 6월부터 신청받을 예정이며, 신청 대상은 양천구에 거주하는 ▲본인 근로소득 세전 월 255만 원 이하 ▲부모 및 배우자 등 부양의무자의 소득 연 1억 원 미만, 재산 9억 원 미만인 18세~34세 청년이다.
각 동주민센터 및 복지정책과 ☎(02)2620-3353
일하는 청년 위한
청년내일저축계좌
저소득 근로 청년의 안정적인 사회 정착을 위하여 3년 간 월 10만 원 이상 저축 시 매월 10만 원 또는 30만 원(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이 지원된다. 단, ▲3년간 근로활동을 유지하고 ▲10시간 교육을 이수해야 하며 ▲자금사용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군 입대, 육아 휴직 시에 2년간 그리고 실직 등의 사유발생 시 6개월간 적립중지가 가능하나 중지기간에는 지원금을 받을 수 없다. 5월 1일~5월 21일까지 신청받으며 세부 일정과 선정기준은 변동될 수 있다.
각 동주민센터 및 자립지원과 ☎(02)2620-4679
전세 사기 그만!
1인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부동산 계약이 어렵고 혼자 집 보러 가는 것이 무서운 1인가구라면 주거안심매니저를 찾아가 보자. 양천구는 최근 급증하는 전·월세 사기를 예방하기 위하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주거안심매니저가 계약 상담과 부동산 현장 확인 및 계약 체결 시 동행하여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월요일과 목요일 주 2회 13:30~17:30까지 운영하며, 서울시 1인가구 포털 및 부동산정보과에 전화 예약이 필요하다.
부동산정보과 ☎(02)2620-3494
청년의 독립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청년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부모님과 별도 거주하는 19~34세 청년에게 월 20만 원씩 최대 12개월간 현금으로 월세를 지원한다.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70만 원 이하 주택 거주자로서, 주택 소유자나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지자체 월세 지원 수혜자 등은 대상에서 제외되며 반드시 청약통장에 가입해야 한다. 자세한 소득 및 재산 기준은 구청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콜센터 ☎1600-0777
주택과 ☎(02)2620-3465
함께하기 바람
청년 친화 공간
서울청년센터 양천
‘서울청년센터 양천(오목로 359)’은 청년 종합지원센터이자 복합 문화공간으로, 청년들의 역량계발과 문화생활을 지원한다. 회의실, 공유라운지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청년정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강연·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서울 청년센터 양천 ☎(02)2062-8826
청년의 행복 바라는
청년공간 바라:봄(春)
신정종합사회복지관에는 청년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공간이 조성되어 있다. 작년 한 해 이곳에서는 청년 참여 활성화를 위한 자율방범대활동과 독서치료 프로그램, 글쓰기를 통해 위로를 전달하는 힐링북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바라봄에서는 올해도 청년들이 마주하는 사회가 따뜻하게 느껴지도록 청년을 위한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신정종합사회복지관 ☎(02)2603-1792
청년과 정책이 만나는
청년 참여 플랫폼 운영
청년의 시각으로 정책을 모니터링하고, 청년 간 교류를 통한 사회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청년참여 활성화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청년정책을 발굴하고, 청년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양천 청년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또한 청년네트워크 위원의 역량 강화를 위하여 아카데미와 워크숍을 실시하고 청년정책 매니저가 배치되어 활동을 지원한다. 지난해 청년네트워크에서 제안한 ‘청년 마주봄 사업’을 통해 청년 간 소통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적 고립 위기에서 벗어날 발판을 조성하였다.
일자리경제과 ☎(02)2620-4808
행복하기 바람
지친 마음 돌보는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심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19세~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일대일 맞춤형 상담 서비스를 지원한다. 상담은 사전·사후 검사로 대상자의 문제 및 욕구를 파악하고 3개월간 주 1회로 총 10회의 전문 상담이 진행된다. 5월 24일까지 동주민센터나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받으며 예산 소진 시 조기마감 될 수 있다.
일자리경제과 ☎(02)2620-4818
취준생 힘내세요!
청년 국가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취업 준비하는 청년들이 응시료 부담 없이 자기 계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국가자격시험 응시료를 지원한다. 최초 신청연도에 한해 연 10만 원 내에서 실비 지원하며, 올해부터 900여 종의 모든 국가자격증까지 지원을 대폭 확대한다. 19세~39세 청년이 대상이며 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일자리경제과 ☎(02)2620-4808
홀로 서기를 응원하는
자립준비청년 지원사업
자립준비청년은 아동양육시설, 가정위탁 등 보호를 받다가 18세 이후 보호가 종료되어 홀로서기에 나서는 청년을 의미한다. 자립준비청년의 홀로서기를 위하여 ▲보호종료 후 최대 5년간 매월 50만 원의 ‘자립수당’과 ▲매월 6만 원의 ‘대중교통비’를 지원하고, ▲경제적 부담 없이 치료받을 수 있도록 ‘의료비’ 건강보험 본인부담 비율이 완화된다. 또한 안정적인 사회 정착을 위하여 ▲2천만 원의 ‘자립정착금’을 지급하고 ▲‘임대주택 우선 공급 및 임대료를 지원’한다.
주소지 동주민센터 및 가족정책과 ☎(02)2620-4620, 4623